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/ 조현욱 옮김, 이태수 감수 / 김영사
사피엔스는 현 인류에 대한 ‘빅 히스토리’입니다.
두께도 어마어마하지만 한 번 읽어서는 이해가 어려운 책이라 소단원별로 깨알 정리를 해 보려 합니다.
(저는 사실 3번 이상 읽은 것 같습니다. 하두 어려워서요. ㅠㅠ)
특이한 것은 작은 소제목들인데, 제목을 정말 희한하게 붙였어요.
다 읽고 나서 그 제목이 납득이 가지 않는다면 잘못 이해한 거더군요. ㅎㅎ
소제목별로 정리하는 거라 올린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봅니다.
(몇 번까지 나가게 될지 저도 궁금..)
청록색 글은 제 목소리이고, 책의 내용은 검정색 글로 차이를 두었습니다.
제1부 인지혁명
1. 별로 중요치 않은 동물
인류의 역사에는 3개의 혁명이 있다.
• 인지혁명 - 7만 년 전에 일어남. 역사의 시작.
• 농업혁명 - 12,000년 전에 발생함. 역사의 진전 속도를 빠르게 함.
• 과학혁명 - 불과 500년 전에 시작됨. 이 혁명은 인류의 종말을 가져오게 할 수도 있으며,
혹은 완전히 다른 것을 새롭게 시작하게 할 지도 모른다.
“이들 세 혁명은 인간과 그 이웃 생명체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?”에 대한 고찰이 이 책의 주제라고 말하고 있습니다.
<인류가 스스로 숨겨온 비밀>
‘인간human’이란 ‘호모 속에 속하는 동물’이며, 호모 속에는 사피엔스 외에도 여타 종이 많이 존재했다.
몇만 년 전의 지구에는 적어도 여섯 종의 인간이 살고 있었다.
그런데 이상한 점은 지금 딱 한 종만 있다는 사실.
(하라리는 이 사실이 우리 종의 범죄를 암시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합니다.)
⇛ 하라리는 왜 ‘인류가 스스로 숨겨온 비밀’이라는 소제목을 붙였을까요?
우리 현생인류인 사피엔스가 우리의 사촌들을 모조리 제거하고 우리만 살아남은 것은 것을 말하고 있는 것 아닐까요?
뭔가 찜찜한 기분이..
<생각의 비용>
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뇌가 크다. 그래서 그 비용을 치른다.
갖고 다니기 어렵다.(커다란 두개골 안에 있으니 더 그렇다.)
커다란 뇌는 자원을 고갈시킨다.
(자원은 바로 인간의 에너지죠. 즉, 몸이 가지고 있는 칼로리.)
고인류는 뇌가 커지면서 두 가지 대가를 지불했다.
식량을 찾아다니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썼다.
근육이 퇴화했다.(근육에 쓸 에너지를 뉴런에 투입함.)
먹이사슬에서 호모 속이 차지하는 위치는 극히 최근까지도 확고하게 중간이었다고 합니다.
(그러니까 별로 대단치 않은 존재였다는 뜻)
그런 인간이 먹이사슬의 정점으로 뛰어오른 것은 불과 10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가 출현하면서부터였다는 것이죠.
(사피엔스의 출현 이후 인류는 신분이 완전히 초고속 상승했네요. ㅎㅎ)
⇛ 큰 머리로 먹이사슬의 정점으로 뛰어올랐지만, 그 비용을 치렀다는 것.
<익혀 먹는 종족>
불을 길들임으로써 인간은 먹이사슬의 최정점이 될 수 있었다.
불은 빛과 온기의 원천이면서 사자에 대항할 수 있는 치명적인 무기다.
최고의 역할은 음식을 익히는 일이다.
불에 익히면 씹고 소화하기가 쉬워진다.
하여 더욱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었고. 식사 시간이 줄었다.
일부 학자들은 이로 인해 작은 치아와 더 짧은 창자를 갖게 되었다고 보기도 한다.
즉, 인간은 불을 길들임으로써 무한한 잠재력을 통제할 수 있게 됐다는 것입니다.
⇛ 그러니까 불을 길들이는 것은 앞으로 올 일에 대한 신호.
<호모 사피엔스 – 형제 살해범>
오늘날 과학자들은 약 7만 년 전 동아프리카의 사피엔스가 아라비아 반도로 퍼져나갔고 거기서부터 유라시아 땅덩어리 전체로 급속히 퍼져나가 번성했다고 본다.
두 가지 상충하는 이론이 존재한다.
교배이론 : 이미 정착해 있던 다른 종류의 인간들과 섞였다는 이론
교체이론 : 원주민과 화합하지 못하고 인종학살이 일어났다는 이론
최근 몇십 년은 교체이론이 상식이었다.
그러나 2010년에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지도가 밝혀지면서 오늘날 중동과 유럽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1~4%의 네안데르탈인 DNA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. 몇 개월 뒤 데니소바인의 DNA 게놈 지도가 밝혀져, 현대 멜라네사아인과 호주 원주민의 DNA 중 6%가 데니소바인의 DNA로 밝혀졌다.
결론은, 일부 운 좋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사피엔스 특급에 편승했으나, 자원을 둘러싼 경쟁이 폭력과 대량 학살을 유발했다고 본다는 것.
(즉, 교체이론 大 + 교배이론 小)
사피엔스가 새로운 지역에 도착하자마자 그곳 토착 인류가 멸종한 것은 사실이다.
그런데 튼튼하고, 머리 좋고, 추위에 잘 견뎠던 네안데르탈인은 왜 사피엔스에게 패배했을까?
그것에 대한 가장 그럴싸한 해답은 바로 ‘언어’다.
호모 사피엔스가 세상을 정복한 것은 다른 무엇보다도 우리에게만 있는 고유한 ‘언어’ 덕분이라는 것!!
⇛ 사피엔스는 결국 사촌들을 다 제거하고 오늘날 유일종이 되었다.
'책 리뷰 > 인문 사회 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6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깨알 정리(P.89~101) 수렵채집 시대는 침묵의 커튼으로 드리워진 시대 (2) | 2020.05.27 |
---|---|
#5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깨알 정리(P.78~89) 수렵채집 조상들은 행복했을까? (0) | 2020.05.26 |
#4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깨알 정리(P.66~78) 현대인의 사회적, 심리적 특성은 수렵채집을 하던 석기시대에 형성되었다 (0) | 2020.05.26 |
#3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깨알 정리(P.50~65) 인간은 뒷담화하는 존재, 뒷담화의 위력 (0) | 2020.05.25 |
#2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깨알 정리(P.42~49) 인간 협력의 배경은 뒤담화 능력! (2) | 2020.05.25 |
#1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깨알 정리(처음~P.41) 사피엔스는 현 인류에 대한 '빅 히스토리' (8) | 2020.05.24 |
오 주제부터 굉장히 흥미롭네요 ㅎㅎㅎ 자주 방문할게요 잘부탁드립니다^^
답글
저의 첫 댓글을 달아 주셨네요
감사합니다 ^^
잘 부탁드려요♡
답글
포스팅잘보고갑니다.^^ 좋은하루되세요ㅎ
답글
감사합니다 ^^
답글
정말 유명한 책인데 페이지수의 압박 때문에 차마 읽어볼 생각은 못했네요ㅎ 세번이나 읽으시다니 대단해요. 전 이렇게 정리해주신 내용으로 조금씩 읽어봐야겠네요^^
답글
읽어 주신다니 갑자기 힘이 불끈~~ 솟구칩니당 ㅎㅎㅎ
감사합니다. ^^
답글
한번읽고 어려워 두번읽으려고했으나 읽지 못하였는데 이렇게 정히해주시니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. 감사합니다.
답글
에고 저의 진정한 독자를 만난 것 같습니다.
제가 하라리의 책을 읽고 하두 어려워 이해가 안 돼서
사실 4번 정도 읽은 것 같습니다.
그래서 이 블로그도 하게 되었구요
혹여나 이런 리뷰(깨알 요약 정리)가 필요하신 분들이 계시지 않을까 싶어서리..
여튼 보람이 있네요 ㅎㅎ
감사합니다 ^^
답글